
build.gradle이란? Android 및 Gradle 프로젝트 설정 가이드Gradle은 빌드 자동화를 위한 강력한 도구이며, build.gradle 파일은 Gradle 프로젝트에서 빌드 및 의존성을 관리하는 핵심 파일입니다. 특히, Android 개발에서는 build.gradle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build.gradle의 개념과 주요 구성 요소, 설정 방법, 그리고 최적화 팁까지 알아보겠습니다.1. build.gradle이란?build.gradle은 Gradle 빌드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설정 파일로, 프로젝트의 빌드 과정, 의존성, 플러그인 등을 정의하는 역할을 합니다. Groovy 또는 Kotlin DSL(빌드 스크립트 언어)로 작성됩니다.Gradle의 역할:프로젝트 빌드..

GET 메서드란?웹 개발에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 사용됩니다. 그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요청 방식 중 하나가 GET 메서드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GET 메서드의 개념, 특징, 사용법, 그리고 보안상의 주의점까지 알아보겠습니다.1. GET 메서드란?GET 메서드는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등)가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요청할 때 사용하는 HTTP 요청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에서 특정 페이지를 열 때 브라우저는 해당 URL로 GET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해당하는 HTML, JSON, XML 등의 데이터를 반환합니다.특징요청한 데이터가 URL에 포함됨 (쿼리 스트링 방식)캐싱이 가능함멱등성(Idempotent) 보장 (..

인터넷 익스체인지(IX) 허브란?인터넷 익스체인지(Internet Exchange, IX) 허브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 콘텐츠 제공 네트워크(CDN), 클라우드 사업자, 기업, 데이터 센터 간에 인터넷 트래픽을 직접 교환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입니다.이는 공용 인터넷을 거치지 않고 직접 데이터 패킷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핵심 네트워크 허브 역할을 합니다.🔹 IX의 역할과 필요성인터넷 트래픽은 일반적으로 ISP를 통해 전달되지만, IX 허브를 활용하면 ISP를 거치지 않고 데이터를 직접 교환(Peering, 피어링) 할 수 있어 속도, 비용, 안정성이 향상됩니다.IX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됩니다:인터넷 트래픽의 효율적인 라우팅네트워크 속도 향상 및 지연(Latency) 최소화데이터 전..

인터커넥션(Interconnection) 서비스란?인터커넥션(Interconnection)은 기업, 네트워크, 클라우드 서비스, 데이터 센터, 디지털 에코시스템 간 직접적이고 안전한 연결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기존의 공용 인터넷 연결과 비교했을 때 더 빠르고, 안정적이며, 보안성이 뛰어난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Equinix는 글로벌 최대 규모의 인터커넥션 제공업체로서, 다양한 인터커넥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Equinix의 주요 인터커넥션 서비스1. Equinix Fabric™ (구 Cloud Exchange)데이터 센터 내에서 기업과 클라우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업체, 파트너를 직접 연결하는 서비스기존의 VPN이나 인터넷 연결보다 더 빠르고 안전한 프라이빗 연결 제공주요 특징:A..

리게티 컴퓨팅(Rigetti Computing)은 2013년 채드 리게티(Chad Rigetti)가 설립한 미국의 양자 컴퓨팅 기업으로, 양자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며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최근 리게티 컴퓨팅은 기술 개발과 재무 성과 측면에서 여러 중요한 진전을 이루었습니다.1. 기술 개발 현황Ankaa-3 시스템 개발: 리게티는 2024년 말까지 84큐비트의 Ankaa-3 시스템을 출시할 예정이며, 2큐비트 게이트에서 99% 이상의 충실도를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양자 컴퓨터의 신뢰성과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양자 오류 수정 기술 시연: 2024년 11월, 리게티는 리버레인(Riverlane)과 협력하여 84큐비트 Ankaa-2 시스템에서 실..

안녕하세요오늘은 현재 작업중인 zkhub의 채팅 어플 android flutter앱을 개발하는 중 현재 발생중인 패키지 의존성 충돌문제를 소개하고. 추후에 해결이 완료되면 해결법을 공유해 비슷한 문제를 겪으시는 분들에게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우선은 현재 flutter앱의 pubspec.yaml파일 내부에 문제의 두 패키지 입니다 firebase_core: ^3.6.0(최신 버전)과 reown_appkit: ^1.0.1(최신 버전) 인데요 두 패키지를 동시에 설치가 현재 불가능한 상황 입니다 구체적인 오류 메세지 입니다 요약 하자면 reown_appkit은 web패키지의 0.5.0버전을 요구중이지만 firebase_core는 web패키지의 1.0.1 버전을 요구중인 상황 입니다 관련 오류가 해결이 되면 ..
- 레이어1 코인
- 인물
- IT 지식
- 게임
- 외국 기업
- 매매일지
- 기업 소개
- 오블완
- 미국주식
- 용어
- 티스토리챌린지
- 축구
- 미국 주식
- 매매 일지
- 경제 지식
- 트레이딩
- 디지털 자산
- 컴퓨터 공학
- 투자
- 이더리움
- 인물 소개
- 야구
- 재무제표
- 컴퓨터 과학
- 가상화폐
- 스포츠
- 스타
- 비트코인
- 미국 기업
- 암호화폐
- Total
- Today
- Yesterday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