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cgv

반응형

CJ CGV는 국내 최대의 멀티플렉스 영화관 체인으로, 최근 다양한 이슈와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아래는 CGV와 관련된 최신 동향과 주요 이슈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유상증자

CGV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관객 감소와 이에 따른 재무 악화를 극복하기 위해 대규모 유상증자를 단행했습니다. 2023년 6월, 약 5,7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발표하였으며, 이는 당시 시가총액에 맞먹는 규모였습니다. 이러한 결정은 재무구조 개선과 신사업 추진을 위한 자금 확보를 목적으로 했습니다.

 

그러나 2023년 9월, 법원이 CJ의 자회사인 CJ올리브네트웍스의 주식을 현물출자하여 CGV의 신주를 인수하려는 계획에 제동을 걸었습니다. 법원은 감정보고서의 객관성이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이를 기각하였으며, 이에 따라 CGV의 증자 계획에 불확실성이 높아졌습니다.

 

2. 실적 회복과 흑자 지속

CGV는 2024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 5,470억 원, 영업이익 321억 원을 기록하며 6분기 연속 흑자를 이어갔습니다. 이는 '베테랑 2', '파일럿' 등 국내 영화의 흥행과 해외 시장의 회복세에 힘입은 결과로 분석됩니다.

 

3. 미국 계열사 주식 추가 취득

2024년 12월, CGV는 미국 지주회사 계열사인 CJ CGV America의 주식 873주를 약 466억 원에 추가 취득하여 지분율을 100%로 높였습니다. 이는 미국 법인의 구조조정을 통한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조치로 보입니다.

 

4. 단독 개봉작의 성과

CGV는 단독 개봉작을 통해 관객 수를 크게 늘렸습니다. 2023년 9월 말 기준, 단독으로 선보인 작품의 관객 수가 213만 명을 기록하여 전년 대비 2배 이상의 증가를 보였습니다. 특히 '옥수역귀신', '마루이 비디오' 등 공포 영화와 일본 애니메이션 '귀멸의 칼날: 상현집결, 그리고 도공 마을로' 등이 흥행에 성공했습니다.

 

5. 영화관 산업의 도전과 미래

OTT 서비스의 성장과 영화 티켓 가격 인상으로 인해 관객들의 영화관 방문이 줄어들면서, CGV를 비롯한 영화관 산업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CGV는 특별관 확대, 다양한 콘텐츠 제공 등으로 관객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6. CJ라이브시티 관련 이슈

CJ ENM의 자회사인 CJ라이브시티가 추진하던 'K-컬처밸리' 사업이 지연되면서, CJ그룹의 콘텐츠 확산 계획에 차질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CGV의 재무구조 개선 이후 또 다른 도전 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CGV는 재무구조 개선, 콘텐츠 다양화, 해외 시장 확대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현재의 도전을 극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화 산업의 변화 속에서 CGV의 향후 행보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최근에 올라온 글
반응형
공지사항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